UI/UX 분야는 하나의 직무로 통칭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세부 직군으로 나뉘며 각 직무마다 연봉 수준도 차이가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UI/UX 관련 직무들—UX 리서처, UI 디자이너, UX 디자이너, 인터랙션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 등—의 역할과 연봉을 상세히 비교 분석합니다. 취업 준비생과 이직을 고려하는 디자이너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UX 디자이너 – 사용자 경험의 중심축
UX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니즈를 분석하고, 제품의 구조와 흐름을 설계해 사용자 친화적인 경험을 만드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와이어프레임 작성, 사용자 여정 지도(Journey Map), 페르소나 설정 등 사용자 중심 설계가 주요 업무입니다.
2024년 기준 UX 디자이너의 연봉은 지역과 경력에 따라 크게 차이 나지만, 일반적으로 신입 기준 연 3,500만 원 ~ 5,000만 원, 경력 5년 이상은 6,000만 원 ~ 9,000만 원 사이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미국이 평균 $90,000 이상, 유럽 주요국은 €45,000 ~ €60,000 수준입니다. 특히 사용자의 디지털 행동 분석이나 A/B 테스트 경험이 있는 디자이너는 더욱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UX 디자이너는 전략적인 사고와 사용자 중심 사고 능력이 중요하므로, 연봉도 단순 비주얼 디자인보다 높은 편에 속합니다. 국내외 할 것 없이 점차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UI 디자이너 – 시각적 완성도를 책임지다
UI 디자이너는 제품의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전문가입니다. 색상, 타이포그래피, 그리드 시스템, 디자인 시스템 구축 등을 다루며, Figma, Sketch, Adobe XD 등의 툴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것이 기본 요건입니다.
UI 디자이너는 국내 기준으로 신입 약 3,000만 원 ~ 4,500만 원, 경력직은 5,000만 원 ~ 7,000만 원 정도로 연봉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평균 $75,000 ~ $85,000, 유럽은 €40,000 ~ €55,000 사이가 일반적이며, 특히 SaaS 기업이나 모바일 중심 서비스에서는 UI 디자이너의 가치를 높게 평가합니다.
디자인 시스템 구축, 반응형 디자인, 접근성 고려 등이 가능한 UI 디자이너는 연봉에서 우대를 받습니다. 시각적 트렌드에 민감하고, 브랜딩 감각까지 겸비하면 상위 10% 고연봉자의 길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UX 리서처 & 인터랙션 디자이너 – 고급 분석과 정교한 설계
UX 리서처는 사용자 조사를 기반으로 제품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인터뷰, 설문, 사용자 테스트, 데이터 해석 등을 수행하며, 심리학, 사회학, 데이터 분석에 대한 지식이 요구됩니다.
UX 리서처는 전문성이 높은 포지션으로, 국내에서는 신입 4,000만 원 수준에서 시작해 경력자 7,000만 원 이상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해외에서는 미국 기준 $95,000 이상으로 UX 분야 중 가장 높은 연봉군에 속하며, 연구 능력과 통계적 해석 역량이 매우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인터랙션 디자이너는 UI 요소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계합니다. 버튼 클릭, 전환 애니메이션, 마이크로 인터랙션 등 사용자의 행동 흐름에 집중하는 세부 영역입니다.
국내 기준 연봉은 3,500만 원 ~ 6,000만 원, 해외는 평균 $80,000 ~ $100,000 수준이며, Motion Design이나 Protopie, Principle 등 툴에 대한 숙련도가 중요하게 평가됩니다.
결론: 세분화될수록 기회는 더 많다
UI/UX 분야는 단일 직무가 아닌 다양한 세부 직군으로 나뉘며, 역할의 전문성과 난이도에 따라 연봉 수준이 차별화됩니다.
- UX 디자이너는 전략적 사고와 사용자 경험 설계를 중심으로 높은 연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UI 디자이너는 시각적 완성도와 디자인 시스템 구축 능력으로 실력을 입증해야 합니다.
- UX 리서처는 사용자 조사와 데이터 기반 분석에서 강점을 가지며, 연봉도 상위권에 속합니다.
- 인터랙션 디자이너는 행동 흐름과 세밀한 사용자 경험 구현으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이들 직무 간의 경계가 더욱 뚜렷해지고, 전문성에 따른 보상도 강화될 것입니다. 자신의 역량과 관심사에 따라 세부 직무를 정하고, 포트폴리오를 전략적으로 준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