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디자인에 관심이 있는 예비 디자이너나 이직을 고려 중인 디자이너라면 “인하우스 UXUI디자이너는 어떤 하루를 보내며, 어떤 환경에서 일할까?”라는 질문을 떠올려본 적 있을 겁니다. 프리랜서와는 또 다른 안정성과 구조를 갖춘 인하우스 포지션은 실무의 연속성과 조직 속 커뮤니케이션에 익숙한 사람에게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하우스 UXUI 디자이너의 하루 일과, 대표적인 장단점, 그리고 현실적인 연봉 수준까지 구체적으로 소개해드립니다.
인하우스 UXUI디자이너의 일상 업무
인하우스 UXUI 디자이너의 하루는 '제품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외부 클라이언트가 아닌 자사 서비스나 제품의 디자인 전반을 담당하며, 프로젝트 초기 단계부터 사용자 피드백 기반의 개선까지 제품 전반에 깊이 관여합니다.
하루는 대개 8~10시 출근으로 시작되며, 오전 시간에는 어제의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그날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스크럼 미팅으로 시작됩니다. 이 미팅에서 기획자, 개발자와 함께 기능 흐름을 논의하고 디자인의 방향성을 확정합니다. 이후 오전에는 UI 시안 작업, 와이어프레임 제작, 피드백 반영 등의 실무를 진행합니다.
점심 이후에는 사용자 인터뷰나 A/B 테스트 결과 분석, 경쟁사 분석, UX 리서치 등을 수행하며 제품의 방향성을 사용자 중심으로 계속 조율해갑니다. 오후 늦게는 개발자와 협업하여 실제 구현 시 문제 없는지 디자인 가이드를 제공하고 QA 작업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인하우스 디자이너는 한 프로젝트를 오랜 시간 책임지고 관리하기 때문에, 단순히 디자인만 하는 역할을 넘어서 ‘디자인 전략가’로서 성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하우스 디자이너의 장점과 단점
장점
- 안정적인 근무 환경
매월 고정된 월급, 4대 보험, 유급 휴가, 복지 혜택 등 정규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제품에 대한 깊은 이해와 몰입
지속적으로 같은 제품을 다루기 때문에 UX/UI 개선을 장기적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 팀워크와 멘토링 기회
협업 중심의 환경에서 빠른 피드백과 함께 성장할 수 있습니다.
단점
- 자율성 부족
브랜딩이나 방향성이 조직 정책에 따르기 때문에 창의적 표현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업무의 반복성
지속적인 유지보수나 운영 중심의 디자인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 성과에 따른 보상의 한계
성과가 높더라도 보상은 정해진 체계 내에서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인하우스 UXUI디자이너의 연봉 수준
- 신입(1~2년 차): 약 2,800만 ~ 3,500만원
- 경력(3~5년 차): 약 4,000만 ~ 5,500만원
- 시니어급(6년 이상): 약 6,000만 ~ 8,000만원 이상
- 리드 디자이너/매니저: 연 8,000만 ~ 1억 원도 가능 (대기업/스타트업 한정)
연봉 외에도 스톡옵션, 성과급, 복지혜택이 포함될 수 있으며, 체계적인 승진 구조 속에서 점진적 수익 상승이 기대됩니다.
결론: 실무 중심의 커리어를 쌓고 싶다면
인하우스 UXUI디자이너는 하나의 제품을 깊이 있게 다루며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역량을 체계적으로 쌓을 수 있는 환경입니다. 안정적인 수익과 복지를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직업적 만족도도 높습니다.
단점으로는 반복성과 제한된 자율성이 있을 수 있지만, 실무에 몰입하며 팀워크와 전략적 사고를 키우고자 한다면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자신의 성향과 목표를 돌아보며, 인하우스가 나에게 맞는 선택인지 판단해보세요.